About us

  • About us
  • Members

Members

역노화 방법 Reverse Aging

  • 이준호 교수

    이준호 교수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예쁜꼬마선충 연구를 국내에 정착시키고 대안적 텔로미어 유지기전 연구, 행동조절 신경회로 연구 등을 수행하여 독보적인 세계적 연구성과를 거두고 있는 유전학자로서 현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이다. 서울대학교 학생처장, 서울대 자연과학대 학장, 전국자연대학장협의회 회장, 전국대학기초과학연구소 연합회 회장,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면서 기초과학 역량 강화 및 지원 확대를 위한 노력을 경주해 왔다. 현재 서울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원장직도 수행하고 있다.

  • 이승재 교수

    이승재 교수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노화 및 장수 연구를 분자유전학적으로 연구하는 최고 수준의 연구자이며 RNA 매개 건강장수 연구단을 연구재단의 리더연구과제의 지원으로 수행하고 있다. 현재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학술지인 Molecules and Cells의 편집위원장이며 한국노화학회의 부회장이다. Aging Cell 저널의 편집위원, Cold Spring Harbor Asia, Molecular Basis of Aging and Disease 학회의 Organizer 등을 역임하며 국제적으로 연구 분야를 리드하고 있으며, 노화 연구의 업적을 인정받아 한성과학상, 마크로젠과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미생물을 이용한 화학물질의 제조 Microbial Synthesis of Chemicals

  • 이상엽 교수

    이상엽 교수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

    시스템대사공학을 창시하고 미생물 대사공학과 산업바이오테크놀로지 분야 연구를 30여년간 수행하여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삼성 호암상 (공학부문), 한국공학한림원 대상, 포스코청암상, 이태리 대통령으로부터 에너지 분야 노벨상으로 불리는 ENI 상, 이스라엘 총리로부터 Samson상, Merck Metabolic Engineering상, 미국화학회의 Marvin Johnson상 등을 수상하였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이며 미국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미국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영국 Royal Society의 동시 외국회원이다. 이외에도 American Academy of Microbiology, American Institute of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the World Academy of Science, 미국화학공학회 등의 펠로우이다. 세계경제포럼 Global Future Council on Biotechnology 의장을 역임하였고, 대사공학 분야 flagship 학술지인 Metabolic Engineering의 편집장을 맡고 있으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위원, 농림식품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 서상우 교수

    서상우 교수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미생물 합성생물학 (Microbial Synthetic Biology)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합성생물학 기반 유전자 발현 정밀조절 기술, 고속선별 기술 등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미생물 세포공장 개발을 통한 유용물질 생산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APEC 혁신연구교육과학상 한국대표로 선발되었으며, 서울대학교 차세대 우수학자, 미원상사 신진과학자상, 한국생물공학회 신인학술상, 코스맥스 어워드 등을 수상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에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생명공학공동연구원 산하 바이오공학연구소 연구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신종 바이러스 예방 백신의 선제 개발 Proactive Development of Vaccines for Emerging Viruses

  • 신의철 교수

    신의철 석좌교수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한국을 대표하는 면역학자로서 바이러스 및 종양에 대한 T 세포 면역반응을 연구하고 있다. 의과대학 재학 시절, 외부의 침입자에 대항하여 다양한 면역세포가 서로 소통을 하며 만들어내는 ‘면역’이라는 현상에 매료되어 면역학자의 길을 택하였다.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교수로서 면역학 연구와 더불어 의사과학자 양성에도 매진하였으며, 현재는 기초과학연구원 산하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바이러스면역연구센터장으로도 활동 중이다. 바이러스 감염 시 일어나는 방관자(bystander) T 세포 활성화의 기전과 임상적 의미를 처음으로 밝힌 논문이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으며 이 분야의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팬데믹 상황에서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을 활발히 연구하여 T 세포 중심의 대응방안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2022년 아산의학상을 수상하였으며,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및 의학 한림원 정회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 박수형 교수

    박수형 교수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박수형 교수는 면역학자로 감염병, 암, 자가면역질환 등 다양한 면역질환에서 면역세포의 병리 기전 및 치료 전략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신/변종 바이러스 감염 질환에 대한 방어면역 특성 규명과 백신 및 치료제 개발 연구에 집중해왔다. 그 결과 현재 백신이 전무한 중증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을 개발하여 주목받고 있으며, 현재 SFTS 예방 백신의 임상 개발을 진행 중이다. 또한, KAIST 전염병대비센터 센터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2021년에는 차세대 한국과학기술한림원(Y-KAST) 회원으로 선정되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뇌와 기계의 만남 Brain-Machine Interface

  • 이대열 교수

    이대열 교수

    존스홉킨스대학교 신경과학과

    게임이론과 미시경제학의 이론적인 틀과 강화학습 같은 기계학습적인 방법을 신경과학과 접목해서 뇌의 의사결정기능을 연구하는 신경경제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정립하였다. 특히, 영장류의 전전두엽과 기저핵과 같이 아직도 그 기능이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뇌의 영역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권위자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공로를 인정받아 2021년에 삼성 호암상 의학상을 수상하였다. 미국 신경과학학회의 공식 저널인 Journal of Neuroscience의 리뷰 편집자로 활동하였고, 현재는 eLife의 리뷰 편집자이다. 뉴로게이저(주) 를 공동창업하여 현재는 연구책임자로 뇌영상기술을 상용화하는 노력을 하고 있고, 2017년에 출간된 저서 “지능의 탄생”은 뇌와 인공지능의 관계를 새로운 관점에서 설명하여 다수의 언론사에 의해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었다.

  • 백세범 교수

    백세범 교수

    카이스트 뇌인지과학과

    뇌신경망의 기능 발생 원리에 대한 연구를 선도하며 시스템 신경과학의 난제였던 기능성 지도 발생의 원리를 최초로 밝혔다. 이론적인 모델과 계산적 시뮬레이션에 기반하여 뇌기능의 궁극적 원리를 이해하는 계산신경과학 분야의 권위자로, 수학적 모델, 컴퓨터 시뮬레이션, 심리물리학 실험, 인공지능 모델 등 다양한 연구 기법을 활용하여 생물학적 자연신경망과 인공신경망 모두에 적용되는 인지 지능 발생의 기반 원리를 밝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13년 청암과학상 신진교수 부문을 수상하였으며, 2021년에는 KAIST 싱귤래러티 교수로 임명되었다. 한국연구재단 뇌첨단 의공학분과 전문연구위원, 엔비디아 딥러닝 커뮤니티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하였으며 2024년에 한국계산뇌과학회 회장으로 선임되었다. 현재 Nature-Springer, Frontiers 저널 그룹의 편집 위원을 맡고 있다.

Non and Semi-Non Von Neumann Architecture Non and Semi-Non Von Neumann Architecture

  • 석민구 교수

    석민구 교수

    컬럼비아대학교 전기공학부

    반도체 설계 전문가로, 주요 연구 주제는 초저전력(ultra-low-power), 적응형(adaptive), 지능형(intelligent), 보안형(secure) 컴퓨팅 시스템이다.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를 졸업했고, 미국 University of Michigan에서 전기공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과학재단(NSF) 젊은과학자상(CAREER Award)을 수상했고, 고체회로학회(Solid-State Circuit Society) 저명 강의자(Distinguished Lecturer)로 선정 되었으며, 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 시니어 멤버로 활동 중이다.

  • 전동석 교수

    전동석 교수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인공지능전공

    집적회로 설계 분야의 전문가로서 알고리즘의 효율적인 하드웨어 구현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딥러닝과 뉴로모픽 컴퓨팅을 포함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최적화와 가속기 아키텍처 설계, 저전력 집적회로 개발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설계 방법론을 제시하여 혁신적이며 실용적인 하드웨어 솔루션을 다수 발표하였다. 집적회로 설계 및 설계 자동화 분야의 여러 권위있는 학술대회 및 학술지의 편집위원을 역임하였으며, IEEE Solid-State Circuits Society의 Distinguished Lecturer로 선정되었다.

원자단위 반도체 소자 기술 Atomic-Scale Semiconductor Device

  • 신창환 교수

    신창환 교수

    고려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실리콘 반도체 집적회로 소자(device) 설계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시스템 반도체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 소자의 아키텍처에 대한 혁신적인 요소 기술 및 수율 향상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3차원 반도체 소자 구조에 대한 업적으로, 2011년 European Solid-State Device Research Conference (ESSDERC)에서 Best Paper Award를 수상하였다. 2012년부터 10여 년 간 ESSDERC TPC 멤버로 활동하였으며, 다양한 국제저널 편집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2017년부터 6년간 SK하이닉스 사외이사(최연소 이사 선임)로 재임하면서, 인공지능 메모리 반도체 기술의 방향성에 대한 각종 의사결정에 참여하였다.

  • 이철호 교수

    이철호 교수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나노 반도체 소자 분야 전문가로서, 차세대 반도체 물질로 주목받고 있는 2차원 반도체에서 새로운 소자물리, 고성능∙저전력 신소자, 뉴로모픽 전자소자 등에 관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선도적인 연구결과를 다수 발표한 바 있다. 포스코 청암과학펠로 (물리학 분야), 한국그래핀학회 신진학술상을 수상하였으며, 2022년에는 차세대 한국과학기술한림원(Y-KAST) 회원으로 선정되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포스트 실리콘 소자 Post-silicon Device

  • 염한웅 교수

    염한웅 교수

    포항공대 물리학과

    포항공과대학교 물리학과 교수이며, 동경대, 연세대 교수를 지냈다. 기초과학연구원 원자제어저차원전자계연구단을 2013년부터 이끌고 있으며, 원자선, 원자막으로 대표되는 저차원물질을 실험적으로 연구하는 물리학자이다. 금속원자선에서의 파이얼스불안정성에 의한 상전이들을 세계최초로 발견하여, 2015년 한국과학상, 2016년 인촌상 등을 수상하였고, 세계적으로 금속원자선 연구분야를 개척하였다. 이후 원자선들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형태의 솔리톤 입자들을 발견하여 2017년 경암상을 수상하였다. 솔리톤 입자를 제어하여 전력소모 없는 전자소자로 발전시키는 솔리토닉스라는 독창적인 개념을 주창하여 기초와 응용을 아우르는 새로운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미국물리학회와 한국물리학회의 펠로우이며 일본물리학회의 이사를 맡고 있다. 문재인 정부 5년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을 맡아 기초연구 확대, 연구자 중심 지원, 공공미션지향 연구라는 연구정책들을 제시하고 실행하였다.

  • 최성율 교수

    최성율 교수

    카이스트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성율 교수는 2차원 소재 기반 전자소자 분야의 최고 전문가로서, 원자 또는 분자 스케일에서의 전도 및 스위칭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나노소자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KAIST 그래핀 & 2D소재 연구센터, 디스플레이 미래소재 연구센터를 유치하여 융합연구를 이끌면서 산화그래핀 멤리스터, 고성능 2D 트랜지스터, 초박막 인공 뉴런 및 시냅스 소자 등 저전력, 다기능 소자 연구를 리드해 왔다. 한국그래핀학회 회장, KAIST 공과대학 부학장, KAIST 기술가치창출원장을 역임하였고, 2019년부터 KAIST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 단장, 2023년에는 반도체공학대학원을 설립하여 초대 대학원장을 맡고 있다. Nano Korea 2015에서 "나노기술 혁신부문" 국무총리상, IMID 2016에서 KIDS Silver Award, 2017년 KAIST 학술상, 2021년 "소재부품장비 산업 유공"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

공간디스플레이 Spatial Display

  • 홍용택 교수

    홍용택 교수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유연 신축성 전자기술 기반 디스플레이와 센서집적 전자 피부 분야 최고 수준의 권위자로 2010년 IEEE/IEIE "Young IT Engineer of the Year" Award, 2012년 IEC 1906 Award, 2015년 신양공학학술상, 2017년 2025 대한민국을 이끌 100대 기술 주역상, 2018년 산업통장자원부 장관상, 2019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이 달의 과학기술인상", 2020년 Merck Award, 202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등을 수상했고, 2023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24년 국제정보디스플레이학회 석학회원(SID Fellow)으로 선정되었으며, 유연 신축성 디스플레이와 신체 부착형 신축성 웨어러블 기기 분야의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탁월한 학술적 성과에 더해, 2010년부터 3대 국제표준기구 중 하나인 IEC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분과 창립 분과장으로 지금까지 한국이 디스플레이 분야 국제 표준을 주도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 박재형 교수

    박재형 교수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디스플레이 광학 전문가로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홀로그래피 및 라이트필드 기술을 증강현실 및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에 접목한 True 3D 공간 디스플레이 기술과 영상과 실사 객체 간의 상호 가려짐을 구현하는 Occlusion-capable 디스플레이 기술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2013년 2020년 대한민국 산업을 이끌 100대 기술 주역상, 2014년 IEC 1906 Award, 2015년 Merck Young Scientist Award, 2023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2022년 미국광학회 석학회원 (Optica Fellow)로 선정되었다.

효율 60% 태양전지 Solar Cells with 60% Efficiency

  • 박남규 교수

    박남규 교수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고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최초로 개발, 페로브스카이트 포토볼타익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개척하여 2018년 삼성 호암상 (공학), 2022년 랭크 광전자상 (영국 랭크재단), 2024년 한국공학한림원 대상, 2024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을 수상하였다. 특히 2017년에는 Clarivate로 부터 논문 피인용 빈도가 세계 상위 0.01%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인용 수상자 (Citation Laureate)에 선정 되어 노벨화학상이 가능한 연구자로 주목받고 있다.

  • 남기태 교수

    남기태 교수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에서 학사, 석사를 마치고, MIT 에서 박사를 받았다. MIT 박사 학위 논문으로 “Outstanding PhD Thesis Award” 를 수상하였다. 박사학위 때 연구는 바이러스기반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Wall Street Journal 등 중요 미국 일간지에 소개되었다.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에서 포스닥 연구원으로 근무한 후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에 2010년부터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펩타이드와 무기물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이를 이용한 신재료 합성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있는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40대 과학자이다. 2018년과 2022년에 Nature 지에 연달아, 펩타이드를 이용한 카이럴 나노입자 합성과 그 광학적 활용 연구를 출판하였다. 2022년에는 포스코 청암상을 수상하였고, 2017년엔 젊은 과학자상 (대통령상), 2023년엔 과학기술유공자 포장을 수여받았다. 이산화탄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공광합성, 이산화탄소 활용기술, 촉매 기술의 획기적 진보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그 분야를 공부하고있다. 특이 빛과 재료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이 태양이라는 에너지원을 이산화탄소 저감 및 활용 기술에 이용하는 중요한 시작이다라고 생각하고 있다. 2023년에는 Nature Synthesis 지에 이산화탄소를 활용한 폴리머 합성 기술을 세계 최초로 보고하기도 했다.

AGI와 인간의 공존규칙 Coexistence of Human and AGI

  • 홍성욱 교수

    홍성욱 교수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를 연구하는 과학기술학(STS) 연구자. 한국 사회 속에서 과학기술의 역할과 특성에 대해서 오랫동안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해 오고 있다. 최근에는 '기술 재난'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세월호 참사, 가습기 살균제 참사를 분석했다. 그 외에도 "SF" "과학 다큐멘터리" 같은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매체에 관심이 있으며, 이와는 좀 다른 주제지만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의 사회적 영향, 그리고 1970년대 한국 중화학공업의 역사를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정책학부)이며,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분야의 상호작용을 매개한 연구자에게 주는 제7회 암곡학술상을 수상했다. 가장 최근 저서로는 <백남준과 테크노 아트>, <홍성욱의 그림으로 읽는 과학사>가 있다.

  • 김건희 교수

    김건희 교수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멀티모덜 인공지능 전문가로, 주로 컴퓨터비전와 자연어처리의 교점에 있는 문제를 연구한다. KAIST 기계공학 학부를 졸업한 후, 미국의 Carnegie Mellon University에서 로봇학 석사, 컴퓨터과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1년 반 정도 Disney Research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지내고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에 부임하였다. 2014년 ACM SIGKDD 최우수 박사학위상, ACM VRST 2019와 EMNLP 2023에서 최우수 논문상 등을 받았다. (주)리플에이아이를 창업하여 멀티모덜 인공지능 연구 결과를 토대로 AI 영상 편집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 천현득 교수

    천현득 교수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과학의 발전을 철학적으로 성찰하는 한편, 성찰된 과학적 성취를 바탕으로 철학을 확장하는 데 관심을 가진 과학철학자이다. 인공지능의 철학적, 윤리적 쟁점들을 연구해 왔으며, 최근에는 설명가능성, 이해, (불)투명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다.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과학철학 전공을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대 인문과학원 교수를 거쳐, 2018년 서울대 철학과에 부임했고, 2022년 신설된 과학학과로 옮겼다. 서울대 인지과학연구소 연구원과 피츠버그대 과학철학센터 객원펠로우, 런던정경대 방문연구원을 역임했다. 2020년 서울대 창의선도 신진연구자로 선정되었고, 제5회 암곡학술상을 받았다. 2024년 현재, 서울대 AI연구원 인공지능 ELSI센터의 책임을 맡고 있고, 한국과학철학회 <과학철학>의 편집인, 한국인지과학회 부회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