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 기반 기술의 근본적 한계를 돌파하면서 기존의 반도체 플랫폼과 조화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를 만들 수 있을까? 실리콘 기반의 CMOS 트랜지스터 소자를 중심으로 형성된 반도체 산업은 AI가 요구하는 대규모 연산을 저전력으로 빠르게 처리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줄이는 것만으로는…
나노스케일을 넘어 옹스트롬 시대를 열어갈반도체의 핵심 소재와 소자는 무엇인가? 한 자릿수 나노미터 크기의 반도체 공정에 도달하면서 실리콘 기반 반도체 공정 기술의 한계에 봉착하면서, 구조 변화와 신소재 개발 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많은 새로운 기술들이 실현되는데…
태양빛을 전기로 바꾸는 변환효율이 60%인 태양전지 기술을 만들 수 있을까? 최근의 이상기후는 화석 연료 사용으로 발생한 온실가스가 주원인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가 주목받고 있다. 현재 태양 전지의 에너지 변환 효율은 다중접합 기술을 이용할 경우 최대…
한번 충전에 1만킬로, 10년가는 배터리를 만들 수 있을까? 이차전지에서 에너지밀도와 긴 수명은 상충관계다. 에너지밀도가 높으면서 수명을 길게 하려면 극단적으로 가벼운 소재에 기반하면서도 가역적인 전기화학 반응이 가능한 시스템을 찾아야 한다. 현재의 리튬이온 배터리 기술의…
미래 IT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초미세/초저전력 반도체를 만들 수 있을까?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현재 인류 사회를 선도하는 컴퓨팅 서비스들이 요구하는 반도체 계산량과 이에 따른 에너지 소모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그러므로 현 세대의 기술이 아닌 새로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