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폰 노이만 아키텍처에서 벗어나 사람의 뇌처럼 동작하는 컴퓨터를 만들 수 있을까?

오늘날 CPU와 GPU는 폰 노이만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에너지 효율성과 성능을 높이는 데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Continue Reading

미래에 나타날 신종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는 백신을 만들 수 있을까?

아직 등장하지 않은 새로운 바이러스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백신을 선제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예측과, 범용 백신의 개발이라는…
Continue Reading

태양빛을 전기로 바꾸는 변환효율이 60%인 태양전지 기술을 만들 수 있을까?

최근의 이상기후는 화석 연료 사용으로 발생한 온실가스가 주원인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가 주목받고 있다. 현재 태양 전지의 에너지 변환 효율은…
Continue Reading

온실가스를 활용하여 미생물 세포공장을 통해 현재의 석유화학공정보다 더 경쟁력있게 플라스틱을 생산할 수 있을까?

아직 등장하지 않은 새로운 바이러스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백신을 선제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예측과, 범용 백신의 개발이라는…
Continue Reading

역노화 기술을 이용해 인간은 다시 젊어질 수 있을까?

노화 연구는 2000년대부터 본격화되었으며, 세포 수준에서 개체 수준의 연구로 확장되어 왔다. 텔로머레이즈 연구를 시작으로 최근에는 야마나카 인자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역노화의…
Continue Reading

집적회로 기술로 양자컴퓨팅을 구현할 수 있을까?

양자컴퓨팅을 실용적으로 쓸 수 있으려면 고전컴퓨터만큼 오류가 낮아야 한다. 큐비트의 조작가능성과 계산의 신뢰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면서 반도체 집적회로 분야에서 축적된 한국의…
Continue Reading
Load moreLoadingAll items loaded